Bmi 지수 표 |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을 측정해 주는 「Bmi」 친절한 진료실(Hello My Doctor) 33회 | Jtbc 210301 방송 277 개의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bmi 지수 표 –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을 측정해 주는 「BMI」 친절한 진료실(hello my doctor) 33회 | JTBC 210301 방송“?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diaochoangduong.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diaochoangduong.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JTBC Life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6,023회 및 좋아요 8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bmi 지수 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을 측정해 주는 「BMI」 친절한 진료실(hello my doctor) 33회 | JTBC 210301 방송 – bmi 지수 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을 측정해 주는 「BMI」
#BMI #비만 #비만측정법

bmi 지수 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나의 체질량지수(BMI)

나의 체질량지수(BMI) … 체질량지수는 자신의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으로 나눈 값입니다. … 조사자들이나 의료인들이 가장 많이 쓰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health.seoulmc.or.kr

Date Published: 10/7/2022

View: 1430

BMI계산기 – 식품안전나라

이 표는 표준성장도표 : 체질량지수(남아:2~18세)의 연령, 체질량지수 백분위수2)(저제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의 정보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 여기에 표시

Source: www.foodsafetykorea.go.kr

Date Published: 5/5/2021

View: 8655

BMI – 나무위키

BMI 지수는 쉽게 측정할 수 있는 키와 몸무게 만으로 간단히 추정할 수 … 이 고객의 키, 나이, 체중 등을 작성한 신장체중표에서 유래되었다. BMI …

+ 여기에 표시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5/16/2021

View: 3319

비만도계산-보건소 – 옥천군

비만도 측정(BMI지수) … BMI를 이용한 비만도 계산은 자신의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누는 것으로 공식은 kg/㎡. BMI가 18.5 이하면 저체중 / 18.5 ~ 22.9 사이면 정상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oc.go.kr

Date Published: 10/20/2022

View: 5144

보건의료사업>자가진단하기>체질량 지수(BMI) 계산 – 통영시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BMI,카우프지수)에 의한 비만도 계산법. 비만의 판정의 올바른 지표는 체중이 아니라 체지방량이므로 몸의 지방량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tongyeong.go.kr

Date Published: 4/15/2021

View: 1413

체질량 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질량 지수(體質量指數, body mass index, BMI)는 인간의 비만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체중과 키의 관계로 계산된다. 케틀레지수(Quetelet index)라고도 한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1/29/2022

View: 3098

내 체중은 정상인가요? – 건강한 체중 – 삼성서울병원

키가 175cm이고 체중은 75kg인 남성일 경우 체질량 지수 BMI 는 체중 75kg / (1.75 × 1.75) = 24.5 입니다. 그러므로 아래의 표에서는 과체중으로 …

+ 더 읽기

Source: www.samsunghospital.com

Date Published: 1/7/2022

View: 578

건강체크 > 체질량지수(BMI) | 부안군 보건소

체질량지수(BMI) 계산기 … 비만 판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체중(kg)/신장(m2))으로 체지방 축적을 잘 반영하기 때문에 비만도 판정에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buan.go.kr

Date Published: 6/21/2022

View: 59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bmi 지수 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을 측정해 주는 「BMI」 친절한 진료실(hello my doctor) 33회 | JTBC 210301 방송.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을 측정해 주는 「BMI」 친절한 진료실(hello my doctor) 33회 | JTBC 210301 방송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을 측정해 주는 「BMI」 친절한 진료실(hello my doctor) 33회 | JTBC 210301 방송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bmi 지수 표

  • Author: JTBC Life
  • Views: 조회수 16,023회
  • Likes: 좋아요 86개
  • Date Published: 2021. 3. 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kmUB8VEvCOE

서울시민 건강포털

체질량지수는 자신의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으로 나눈 값입니다.

체질량지수는 근육량, 유전적 원인, 다른 개인적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사자들이나 의료인들이 가장 많이 쓰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신장 cm / 체중 kg 비만도 결과 BMI 지수 BMI 18.5 23 25.00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체중

올바른 식생활 지침

제때에

신체리듬에 맞춰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특히 아침을 거르지 맙시다.

골고루

다양한 식품을 선택해 부족한 영양소가 없도록 해야 합니다.

알맞게

표준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필요한 적정열량을 섭취하는 것은 비만과 성인병을 예방하는 기본 노력입니다.

싱겁게

소금의 과잉 섭취는 고혈압을 비롯한 순환기계질환의 중요 요인이 됩니다. 건강을 위해 소금 섭취를 하루에 5g이하로 줄입시다.

즐겁게

식사는 가능한 여럿이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족끼리 즐겁게 하는 식사는 그 자체가 즐거움이고, 성인병 관리입니다.

건강한 체중, 제대로 알기

BMI검색 성별정보 성별 남자 여자 신체정보 키(cm) 몸무게(kg) 나이(세) 비만도결과 체질량지수 초기화 계산하기

※ 19세 미만은 계산된 체질량지수에 대한 비만도를 아래 표준 성장도표에서 확인해 주세요.

성별·나이에 따라 BMI를 확인하세요.

1. 표준성장도표: 체질량지수(남아:2~18세) (kg/m2)

이 표는 표준성장도표 : 체질량지수(남아:2~18세)의 연령, 체질량지수 백분위수2)(저제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의 정보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연령(세) 체질량지수 백분위수2) 과체중 비만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 2∼2.51) 결과 < 14.33 14.33 ≤ 결과 < 18.24 18.24 ≤ 결과 < 18.6 19.15 ≤ 결과 2.5∼3 결과 < 14.23 14.23 ≤ 결과 < 17.75 17.75 ≤ 결과 < 18.12 18.67 ≤ 결과 3∼3.5 결과 < 14.15 14.15 ≤ 결과 < 17.41 17.41 ≤ 결과 < 17.79 18.4 ≤ 결과 3.5∼4 결과 < 14.08 14.08 ≤ 결과 < 17.21 17.21 ≤ 결과 < 17.62 18.29 ≤ 결과 4∼4.5 결과 < 14.01 14.01 ≤ 결과 < 17.13 17.13 ≤ 결과 < 17.58 18.34 ≤ 결과 4.5∼5 결과 < 13.95 13.95 ≤ 결과 < 17.17 17.17 ≤ 결과 < 17.66 18.5 ≤ 결과 5∼5.5 결과 < 13.91 13.91 ≤ 결과 < 17.32 17.32 ≤ 결과 < 17.85 18.78 ≤ 결과 5.5∼6 결과 < 13.88 13.88 ≤ 결과 < 17.56 17.56 ≤ 결과 < 18.13 19.14 ≤ 결과 6∼6.5 결과 < 13.87 13.87 ≤ 결과 < 17.86 17.86 ≤ 결과 < 18.49 19.59 ≤ 결과 6.5∼7 결과 < 13.88 13.88 ≤ 결과 < 18.23 18.23 ≤ 결과 < 18.91 20.09 ≤ 결과 7∼8 결과 < 13.93 13.93 ≤ 결과 < 18.86 18.86 ≤ 결과 < 19.62 20.93 ≤ 결과 8∼9 결과 < 14.06 14.06 ≤ 결과 < 19.8 19.8 ≤ 결과 < 20.66 22.13 ≤ 결과 9∼10 결과 < 14.27 14.27 ≤ 결과 < 20.76 20.76 ≤ 결과 < 21.72 23.34 ≤ 결과 10∼11 결과 < 14.57 14.57 ≤ 결과 < 21.71 21.71 ≤ 결과 < 22.74 24.48 ≤ 결과 11∼12 결과 < 14.93 14.93 ≤ 결과 < 22.57 22.57 ≤ 결과 < 23.67 25.5 ≤ 결과 12∼13 결과 < 15.35 15.35 ≤ 결과 < 23.32 23.32 ≤ 결과 < 24.46 25 ≤ 결과 13∼14 결과 < 15.82 15.82 ≤ 결과 < 23.93 23.93 ≤ 결과 < 25 25 ≤ 결과 14∼15 결과 < 16.32 16.32 ≤ 결과 < 24.4 24.4 ≤ 결과 < 25 25 ≤ 결과 15∼16 결과 < 16.83 16.83 ≤ 결과 < 24.74 24.74 ≤ 결과 < 25 25 ≤ 결과 16∼17 결과 < 17.33 17.33 ≤ 결과 < 24.95 24.95 ≤ 결과 < 25 25 ≤ 결과 17∼18 결과 < 17.8 17.8 ≤ 결과 < 25 25 ≤ 결과 18∼19 결과 < 18.2 18.2 ≤ 결과 < 25 25 ≤ 결과 주 1): 2~2.5는 2세부터 2.5세미만에 해당하며 다른 연령에도 동일하게 적용됨 주 2): 5th 미만 : 저체중, 85th ≤ 위험체중(과체중) < 95th, 95th 이상 혹은 BMI 25 kg/m2이상 : 비만 2. 표준성장도표: 체질량지수(여아:2~18세) (kg/m2) 표준성장도표: 체질량지수(여아:2~18세) 연령(세) 체질량지수 백분위수2) 과체중 비만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 2∼2.5 결과 < 14.12 14.12 ≤ 결과 < 17.93 17.93 ≤ 결과 < 18.94 18.94 ≤ 결과 2.5∼3 결과 < 14.02 14.02 ≤ 결과 < 17.5 17.5 ≤ 결과 < 18.48 18.48 ≤ 결과 3∼3.5 결과 < 13.92 13.92 ≤ 결과 < 17.21 17.21 ≤ 결과 < 18.19 18.19 ≤ 결과 3.5∼4 결과 < 13.84 13.84 ≤ 결과 < 17.03 17.03 ≤ 결과 < 18.04 18.04 ≤ 결과 4∼4.5 결과 < 13.76 13.76 ≤ 결과 < 16.95 16.95 ≤ 결과 < 18.03 18.03 ≤ 결과 4.5∼5 결과 < 13.69 13.69 ≤ 결과 < 16.97 16.97 ≤ 결과 < 18.13 18.13 ≤ 결과 5∼5.5 결과 < 13.64 13.64 ≤ 결과 < 17.07 17.07 ≤ 결과 < 18.33 18.33 ≤ 결과 5.5∼6 결과 < 13.6 13.6 ≤ 결과 < 17.24 17.24 ≤ 결과 < 18.61 18.61 ≤ 결과 6∼6.5 결과 < 13.59 13.59 ≤ 결과 < 17.48 17.48 ≤ 결과 < 18.96 18.96 ≤ 결과 6.5∼7 결과 < 13.59 13.59 ≤ 결과 < 17.77 17.77 ≤ 결과 < 19.36 19.36 ≤ 결과 7∼8 결과 < 13.63 13.63 ≤ 결과 < 18.27 18.27 ≤ 결과 < 20.05 20.05 ≤ 결과 8∼9 결과 < 13.77 13.77 ≤ 결과 < 19.05 19.05 ≤ 결과 < 21.05 21.05 ≤ 결과 9∼10 결과 < 14.01 14.01 ≤ 결과 < 19.88 19.88 ≤ 결과 < 22.09 22.09 ≤ 결과 10∼11 결과 < 14.33 14.33 ≤ 결과 < 20.71 20.71 ≤ 결과 < 23.08 23.08 ≤ 결과 11∼12 결과 < 14.73 14.73 ≤ 결과 < 21.51 21.51 ≤ 결과 < 23.99 23.99 ≤ 결과 12∼13 결과 < 15.2 15.2 ≤ 결과 < 22.22 22.22 ≤ 결과 < 24.77 24.77 ≤ 결과 13∼14 결과 < 15.71 15.71 ≤ 결과 < 22.83 22.83 ≤ 결과 < 25 25 ≤ 결과 14∼15 결과 < 16.25 16.25 ≤ 결과 < 23.31 23.31 ≤ 결과 < 25 25 ≤ 결과 15∼16 결과 < 16.78 16.78 ≤ 결과 < 23.67 23.67 ≤ 결과 < 25 25 ≤ 결과 16∼17 결과 < 17.27 17.27 ≤ 결과 < 23.89 23.89 ≤ 결과 < 25 25 ≤ 결과 17∼18 결과 < 17.68 17.68 ≤ 결과 < 23.99 23.99 ≤ 결과 < 25 25 ≤ 결과 18∼19 결과 < 17.96 17.96 ≤ 결과 < 23.98 23.98 ≤ 결과 < 25 25 ≤ 결과 출처: 질병관리본부, 2007년 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

BMI를 이용한 비만도 계산은 자신의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누는 것으로 공식은 kg/㎡. BMI가 18.5 이하면 저체중 / 18.5 ~ 22.9 사이면 정상 / 23.0 ~ 24.9 사이면 과체중 / 25.0 이상부터는 비만으로 판정. ex) 키 170㎝에 몸무게 73kg이면, 계산식 : 73 / (1.7×1.7) = 25.26 → 과체중

비만이란 우리 몸에 지방이 지나치게 많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비만은 체지방량 값으로 진단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신장 대비 체중의 수준(체질량지수)이나 허리둘레 치수를 이용하여 진단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체지방이 많을 경우 체중도 많이 나가는 경향이 있지만, 체지방량과 체중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체중은 많이 나가지만 근육량이 많을 경우 체지방량은 정상 수준이어서 사실상 비만이 아닐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근육량이 적을 경우 체중은 정상범위라 할지라도 체지방이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를 마른 비만이라고 합니다. 마른 비만은 운동이 부족하고, 저단백 고열량 식사를 자주 먹는 사람들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그리고 식사가 불규칙하고 단식이나 원푸드다이어트 등의 부적절한 다이어트를 반복하여 요요현상을 겪은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나게 됩니다.

마른비만일 경우 몸 안에는 체지방이 많은 상태로 피하 지방량은 적고 근육량도 적어 겉보기에는 날씬해 보이지만, 체지방, 특히 내장지방은 많은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른비만인 사람은 이상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뇌혈관질환과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은 상태로 건강관리에 소홀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근육량이 많아 체중으로는 비만에 해당되지만 실제 체지방량은 많지 않다면 이는 비만이 아닙니다. 따라서 체중조절이 전혀 필요치 않으며 현재 체중을 유지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체질량 지수(BMI) 계산

측정결과보기

신체질량지수(BMI) : 신장과 체중으로 알아보는 자신의 비만도

자신의 신체계측지수를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하시면 신체질량지수(BMI)에 의한 비만도를 알 수 있습니다.

비만도 계산 성별 남 여 신장 cm 체중 kg 계산하기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BMI,카우프지수)에 의한 비만도 계산법

비만의 판정의 올바른 지표는 체중이 아니라 체지방량이므로 몸의 지방량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이것은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표준체중, 신체질량지수 등 체지방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신체질량지수

(BMI) = 체중(kg) / [신장(m)]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 상관도

Underweight : 저체중

Normal range : 보통

Overweight : 전(前)비만

Obese : 비만 1~3급

출처:BMI 분류 BMI(체중/키) 상관도Underweight : 저체중Normal range : 보통Overweight : 전(前)비만Obese : 비만 1~3급출처: WHO

체질량 지수(體質量指數, body mass index, BMI)는 인간의 비만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체중과 키의 관계로 계산된다. 케틀레지수(Quetelet index)라고도 한다.

키가 t 미터, 체중이 w 킬로그램일 때, BMI는 다음과 같다. (키의 단위가 센티미터가 아닌 미터임에 유의해야 한다.)

B M I = w t 2 {\displaystyle \mathrm {BMI} ={\frac {w}{t^{2}}}}

비만 기준 [ 편집 ]

아시아 [ 편집 ]

세계보건기구가 정한 것에 따르면,

비만 : 30 이상

과체중 : 25 이상

이다.

한국 [ 편집 ]

대한비만학회는 이보다 더 엄격하다.

고도 비만 : 35 이상

중(重)도 비만 (2단계 비만) : 30 – 34.9

경도 비만 (1단계 비만) : 25 – 29.9

과체중 : 23 – 24.9

정상 : 18.5 – 22.9

저체중 : 18.5 미만

이다.

논란 [ 편집 ]

BMI는 과체중 또는 비만을 판정하기에 부정확한 방법이라는 지적이 많다. 체지방률을 기준으로 비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닌, 순전히 키와 몸무게만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많은 사람들, 심지어 의사들조차 의문을 제기하는 수준이다. 근육은 같은 부피의 지방보다 무겁기 때문에, 지방은 적고 근육이 많은 사람과 근육은 없고 지방이 많은 사람을 비교하면 전자의 BMI가 높게 나온다. 이는 BMI 지수로 남녀의 비만율을 평가할 때 특히 문제가 드러난다. 지방은 적고 근육이 많은 남성이 근육이 없고 지방이 많은 여자보다 훨씬 미용적으로 날씬함에도 불구하고 BMI는 더 높게 나오기 때문.

서울대 예방의학교실 유근영, 강대희, 박수경 교수 연구팀이 지금껏 사용된 BMI에 따른 비만도 구분이 한국인에게 맞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아시아 코호트(특정한 기간에 태어난 사람들 집단) 컨소시엄’에 참여해 한국인 1만6000여 명을 포함한 아시아인 114만 명에 대한 장기간 추적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대상 한국인의 평균 조사 기간은 6.5년(전체 9.2년)이었다. 연구 결과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들은 BMI가 22.5 이상 27.5 미만일 때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다. 이번 조사 결과로 그동안 대한비만학회 등이 기준으로 삼은 비만기준이 한국인 체형과는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힘이 실리게 됐다. 이번 연구 결과 현재 한국에서 비만에 해당돼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의 사망 위험이 과장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 적정 체중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1] [2]

2013년에 미국 국가보건통계청(NCHS) 연구팀이 미국의학협회저널(JAMA)에 288만 명의 비만도와 27만 건의 사망 사례를 비교한 논문을 실었다. 이에 따르면 국제기준으로 정상체중(BMI 18.5~24.9)인 사람보다 과체중(BMI 25~29.9)인 사람의 사망률이 6% 낮았다. 가벼운 비만자(BMI 30~34.9)도 정상체중 사람과 사망률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고, 중·고도 비만인 경우에만 사망률이 크게 높았다. 즉, BMI 35 이상인 고도 비만인 사람은 정상범위(18.5∼25)에 있는 사람보다 일정 기간에 사망할 확률이 무려 29% 높았다. 결국, 이른바 ‘마른 비만’을 가려낼 수 없다는 의미다.[3][4][5]

체지방률 [ 편집 ]

체질량 지수를 맹신해서는 안되는데, 이른바 ‘마른 비만’ 이라고 부르는 체지방률이 높은 경우가 이에 속한다. ‘마른 비만’ 이란 체질량 지수는 낮거나 정상인데, 체지방률이 높은 경우를 의미한다. 남성은 체지방률이 25% 이상일 때, 여성은 30% 이상일 때 보통 ‘마른 비만’으로 분류하게 된다.[6][7]

허리 둘레 [ 편집 ]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한 비만의 진단기준은 첫째, 체질량지수 기준으로 30kg/m2 이상 일 경우 비만으로 진단하고, 둘째, 허리둘레 기준으로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을 복부비만으로 진단한다.[8]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내 몸 바로 알기 내 체중은 정상인가요?

날이 갈수록 늘어나는 체중, 체중이 정말 늘어난건지 체중계가 고장난건지 속상하기만 합니다. 예전엔 홀쭉하던 내가 어느새 뱃살이 팽팽한 과체중이라고 합니다. 조금 있으면 비만이 되겠죠? 내 체중은 지금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 걸까요?

과체중(Overweight)이란 정상체중을 초과하여 체중이 늘어난 상태로 비만에 이르기 직전의 단계입니다. 비만(Obesity)이란 몸무게가 과체중을 이미 넘어서 각종 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높을 정도로 체중이 많은 상태입니다.10년새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비만율은 전체 성인 인구의 32%로 5% 이상 증가하였고 비만 중에서도 가장 체중이 많은 고도 비만의 비율은 남녀 모두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비만은 그 정도에 따라 경도 비만, 중정도 비만, 고도 비만으로 나뉘며 고도 비만인 사람들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및 각종 암과 관절질환 발병율이 더 높습니다. 이외에 비만이 원인이 되거나 비만과 아주 높은 상관성이 있는 질환으로는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대사 증후군, 골관절염, 유방암, 자궁암, 쿠싱증후군, 우울증 등 무수히 많은 질환들이 있습니다.

다양한 질병을 부르는 비만을 간단하게 키와 체중만 알아도 진단하는 방법에는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계산법, 체중대비 백분율(PIBW,Percent of Ideal Body Weight)이 있습니다. 그리고 줄자 하나로 허리둘레 측정하는 것만으로도 비만인지 여부를 어느 정도는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건강체크 > 체질량지수(BMI)

체질량지수(BMI) 계산기

비만 판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체중(kg)/신장(m2))으로 체지방 축적을 잘 반영하기 때문에 비만도 판정에 많이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비엠아이 [BMI] (차생활문화대전, 2012. 7. 10., 홍익재)

체질량지수(BMI) 계산기 체질량지수(BMI) 계산기에 대한 BMI, 체중상태 목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BMI 체중상태 18.5이하 저체중 18.5 ~ 22.9 정상 23.0 ~ 24.9 과체중 25.0 ~ 29.9 비만 30.0이상 고도비만

키워드에 대한 정보 bmi 지수 표

다음은 Bing에서 bmi 지수 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을 측정해 주는 「BMI」 친절한 진료실(hello my doctor) 33회 | JTBC 210301 방송

  • 친절한진료실
  • 헬로마이닥터
  • 의사
  • 의학
  • 토크쇼
  • 건강
  • 노하우
  • BMI
  • 몸무게
  • 건강관리
  • 비만측정법
  • 측정기구
  • 계산
  • 측정법
  • 비만측정
  • 상태
  • 미국
  • 한국
  • 기준
  • hellomydoctor
  • Hong Young Joo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을 #측정해 #주는 #「BMI」 #친절한 #진료실(hello #my #doctor) #33회 #| #JTBC #210301 #방송


YouTube에서 bmi 지수 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을 측정해 주는 「BMI」 친절한 진료실(hello my doctor) 33회 | JTBC 210301 방송 | bmi 지수 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Amica Ebr 7331 W Aa Retro | Zmiana Tonu Dźwięku W Piekarniku 상위 175개 베스트 답변

Leave a Comment